300x250
지난 한달 비트코인 가격 추세
- 2025년 5월 24일부터 6월 23일까지 비트코인(BTC)의 종가 기준 변화는 –5.9%를 기록하며, 약 105,873.93달러에서 100,987.14달러로 하락했습니다
-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지난 30일 동안 평균 종가가 106,597.59달러에서 105,594.01달러로 소폭 하락하며 –2.3%를 기록했습니다
- 일별 가격 동향을 보면 6월 11일 고점 110,237~110,329달러를 찍은 뒤, 중순 이후부터 점진적인 조정을 거쳐 6월 22일 100,987.14달러까지 떨어졌습니다
국가정세 및 거시경제 요인
-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 6월 중순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 및 미국의 추가 군사행동 우려가 고조되며, 위험회피 심리가 강화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6월 22일 비트코인은 일시적으로 98,200달러까지 급락했고, 알트코인들도 4~10%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 중동 긴장 고조는 달러 강세를 촉발하여 안전자산 선호가 확대됐고, 비트코인은 위험 자산으로서 매도 압력을 받았습니다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정책
- 6월 18일 FOMC에서 기준금리(4.25~4.50%)를 동결했으나, 제롬 파월 의장의 다소 매파적 발언이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였습니다. 다수의 이코노미스트가 당초 예상했던 올해 두 차례 금리 인하 전망을 축소하며, 비트코인 등 위험 자산에 대한 자금 유입이 제한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냈습니다
- 같은 회의에서 하원 통과를 앞둔 ‘GENIUS Act(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통과 소식은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신뢰 회복을 기대하게 했으나, 실제 비트코인 가격에는 즉각적 상승 모멘텀으로 연결되진 않았습니다
- 글로벌 거시 경제 지표
- 글로벌 인플레이션 완화 조짐과 주요국 경기 둔화 우려가 공존합니다. 5월 말부터 6월 중순까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보다 둔화됐다는 신호가 일부 우호적 요인으로 작용했으나, 제조업 지표(필라델피아 연은 제조업지수)는 여전히 마이너스를 유지하며 경기 회복 기대를 제한했습니다
기술적 분석 요약
- 지원(지원선): $100,000 부근이 핵심 지지선으로 작용 중이며, 이를 이탈할 경우 $92,000 선까지 추가 하락 리스크가 있습니다
- 저항(저항선): $107,000~$110,000 구간이 단기 매물벽으로, 이 구간 돌파 시 상승 모멘텀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추세 채널: 비트코인은 4월 말~5월 중 강한 상승 이후, 6월 중순부터 하락 추세 채널에 진입하여 하단선에서 반등과 재하락을 반복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3개월 후(2025년 9월) 가격 전망
- 낙관 시나리오
- 중동 긴장이 완화되고, Fed의 금리 인하 기대가 현실화된다면 (2025년 내 최소 12회), 비트코인은 $115,000 ~ $120,000까지 반등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유동성 확대와 기관 수요 증가가 뒷받침될 경우, 연내 신고점(ALL-TIME HIGH) 돌파도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보수 시나리오
- 지정학 리스크 장기화 및 금리 동결 기조 지속 시, 비트코인은 $90,000~$95,000 구간에서 횡보하거나 소폭 하락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달러 강세가 계속되면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유지되며, 시장참여자들의 투자심리 위축이 예상됩니다.
- 기술적 전망 요약
- 시나리오주요 변수예상 가격대 (달러)
낙관 중동 긴장 완화, Fed 인하 가시화 $115,000 ~ $120,000 기본(기본) 현상 유지: 지정학 + 매파적 Fed 스탠스 공존 $100,000 ~ $110,000 보수 장기 긴장·금리 동결 지속 $90,000 ~ $95,000
투자 시 고려사항
- 거시경제 모멘텀: Fed 금리 전망, CPI·고용지표, 달러 인덱스(DXY) 동향을 지속 모니터링할 것.
- 지정학 리스크: 중동·아시아·유럽 등 주요 분쟁지역의 긴장 완화 여부가 비트코인 변동성에 결정적 변수로 작용.
- 시장심리 지표: 크립토 공포·탐욕 지수, 온체인 거래량, 선물 미결제약정(Open Interest) 등을 통해 자금 흐름과 시장 심리를 판단해야 함.
- 규제 리스크: 주요 선진국(미국·EU·한국 등)의 암호화폐 규제 동향이 가격에 단기 충격을 줄 수 있음.
결론
지난 한달간 비트코인은 약 56% 하락하며 조정 국면을 겪었으나, 향후 3개월간은 지정학적 긴장 완화 여부와 미국 Fed의 정책 변화가 최대 변수로 작용할 것입니다. 최적의 매수 기회는 주요 지지선(≈$100,000) 근처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등 시에는 $107,000$110,000 구간을 돌파하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투자 시에는 위에서 언급한 거시·정치·기술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전략을 세우시기 바랍니다.
300x250
'내맘대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1억5천만 원 돌파 배경 및 향후 전망 (3) | 2025.05.21 |
---|---|
[블랙록 보고서] 비트코인 보고서 해석 (0) | 2024.12.26 |
현재 이더리움의 방향성 (0) | 2024.12.23 |
이더리움이란? (0) | 2024.12.20 |
2025년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전망 분석 (0) | 2024.12.20 |
댓글